임신부-임산부 【잘못 쓰는 일상어】

임신부-임산부 【잘못 쓰는 일상어】 이해하기와 예문입니다. 일상에서 잘못 쓰기 쉬운 단어, 혼동하기 쉬운 단어, 복수 표준어 등 언어생활에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를 발췌하여 소개합니다.



정책정보 바로가기
일상이야기 바로가기

잘못 쓰는 일상어

(1) -으로서 -으로써

[잘못된 어휘]
사랑은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운 것이지만 가슴이 시릴 정도로 아픔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희망이는 내게 행복만을 전해준 사랑전도사였습니다. 앞으로 남은 생은 희망이의 여자로 오직 그이만을 위해 살아가겠습니다.

[어휘 설명]
‘-(으)로서’와 ‘-(으)로써’는 서로 발음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쓰이는 환경까지 비슷하여 헷갈리는 일이 많다. ‘-(으)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자격부사격 조사이다. ‘-(으)로써’는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도구부사격 조사이다.

[네이버 국어사전 예문]
“자식으로서 마땅히 할 일.”

“금년으로써 내 오랜 소원을 풀었다.’

[부가 어휘]
‣ 도구부사격 조사 ː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서 그 체언이 다음 에 오는 용언의 내용을 실현하는 기구가 됨을 보이는 부사격 조사. ‘옥도끼로 찍 어 내다.’의 ‘(으)로’, ‘죽음으로써 은혜를 갚다.’의 ‘(으)로써’ 따위이다.
‣ 자격부사격 조사 ː 자격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으)로서’가 있다.
‣ 격조사 ː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하여 갖 는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 주격 조사, 서술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 사, 관형격 조사, 부사격 조사, 호격 조사 따위가 있다.

(2) 임신부-임산부

[잘못된 어휘]
임산부석에 앉아있으면서도 노인을 위해 자리를 양보하던 내 사랑님, 사랑이의 아름다운 양보는 이 세상 최고의 선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어휘 설명]
‘임산부’는 임부姙婦와 산부産婦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임산부라는 뜻에는 임신부가 포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여성의 분만 시기에 따른다. 현재 임신한 사람만을 가리킬 때에는 ‘임신부’라는 표현이 맞다. ‘임신부’는 아이를 밴 여자를 이르는 말로 ‘임부’와 동의어 관계에 있다.

다만, ‘산부産婦’는 ‘산모産母’와 동의어로 아기를 갓 낳은 여자를 이르는 말이므로, 아이를 밴 여자를 이르는 ‘임신부’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네이버 국어사전 예문]
“그는 배가 불러 거동이 불편한 임신부에게 자리를 양보했다.”

“애를 낳은 산부는 아이에게 젖을 물렸다.”

“흡연은 뱃속에 아이를 가지고 있거나 아이에게 젖을 먹여야 하는 임산부에게는 절대적으로 금물이다.”

[부가 어휘]
▸ 임부 ː 아이를 밴 여자. ≒임신부ㆍ잉모孕母ㆍ잉부孕婦.
▸ 산부 ː 아기를 갓 낳은 여자. 산모産母
▸ 임산부 ː 임부와 산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임신부-임산부

(3) 이음매-이음새

[잘못된 어휘]
K생수 회사가 자랑하는 심층수의 취수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음새가 없는 철심 피복관을 사용하여 원수原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어휘 설명]
우리말 중에는 형태는 비슷하지만 달리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음새와 이음매도 그 중 하나다. 두 물체를 연결했을 때 이은 자리에 틈이 생기면 이음새가 벌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두 물체를 이은 자리라는 뜻의 단어는 이음매이다. 이음새는 생김새, 차림새와 같이 어떤 모양을 표현하는 것으로 두 물체를 이은 모양새를 뜻한다.

이음매는 두 물체를 이은 자리라는 뜻이다. 이때 ‘-매’는 맵시, 모양의 뜻을 더하면서 동시에 어떤 부분을 나타내는 접미사다. 결국 ‘이음매’가 부분의 개념을 갖는 말이라면 ‘이음새’는 어떤 상태, 모양을 뜻하는 말이다.

[네이버 국어사전 예문]
“수밀 공법을 이용한 이음매 강화 공사.”

“최근 건강 기능 식품으로 해양 심층수가 각광받고 있다.”

취수관은 수위 변동이 적은 하천의 하류부에서 이용된다.”

“좋은 생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오염되지 않은 원수를 찾아내는 것이 일차적으로 해야 할 일이다.”

[부가 어휘]
▸ 심층수深層水 ː 저층수와 중층수 사이의 수심 1,000~4,000미터에 있는 저온ㆍ 고밀도의 큰 수괴水塊. 고위도 지방의 표층수가 침강하여 생긴다고 한다.
▸ 취수관取水管 ː 취수구에 이어진 도수관.
▸ 원수原水 ː 인공 처리가 되기 전의, 자연 그대로의 물.



정책정보 바로가기
일상이야기 바로가기

마치며

* 오늘은 일상에서 잘못 쓰는 일상어 [임신부-임산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해당 내용은 해드림출판사의 허락하에 장석영 수필가의 [반딧불 반딧불이]에서 인용과 참조를 하였습니다.